웹 접근성(Web Accessibility)
모든 사용자가 신체적, 환경적 조건에 관계없이 웹에 접근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것
웹 접근성 향상의 기대 효과
장애인, 고령자 등을 포함한 사용자층 확대 |
규정과 법적 요구 사항에 대한 준수 |
다양한 환경, 새로운 기기에서의 이용 |
개발 및 운용의 효율성 제고 |
사회 공헌 및 복지 기업으로서의 기업 이미지 향상 |
웹 접근성 이니셔티브(WAI : Web Accessibility Initiative)
웹 접근성 관련 지침을 개발하고 향상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는 W3C 산하 단체
WAI 의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
- 인지성 : 정보와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는 그들이 인지할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표시될 수 있어야 한다.
- 운용성 :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와 탐색은 운용 가능해야 한다.
- 이해성 : 정보와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용은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.
- 내구성 : 콘텐츠는 보조 기술을 포함한 넓고 다양한 사용자 에이전트에 의존하여 해석될 수 있도록 충분히 내구성을 가져야한다.
웹 접근성 향상을 위한 국가 표준 기술 가이드라인
090317_웹_접근성_향상을_위한_국가표준_기술_가이드라인_Final_Mopas.pdf
웹 표준
웹에서 표준적으로 사용되는 기술이나 규칙, 현재 W3C의 권고안을 말하며, 표준화 작업 중이다.
웹 표준의 장점
- 웹 접근성 수준의 향상 : 웹 표준을 준수한 웹 사이트는 다양한 웹 브라우저나 새로운 기기에서도 올바르게 표시된다.
- 검색 친화적인 웹 사이트 구현 : meta 요소를 이용한 정확한 문서 정보를 제공하면 문서 정보만으로도 검색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.
- 구조와 표현의 분리 : HTML, XHTML 등의 마크업 언어를 구축하고, 디자인과 같은 표현은 CSS를 이용함으로써 구조와 표현이 분리된 독립적인 구현이 가능하도록 도와준다.
- 손쉬운 유지 보수 및 비용 절감 효과 : 구조와 표현의 분리로 인해 유지 보수시 많은 이점이 생기고 소스의 경량화로 인해 트래픽 비용이 감소한다.
- 호환성 확보 : 올바른 마크업과 CSS를 이용하여 웹사이트를 제작하면 오래된 버전의 웹브라우저에서도 콘텐츠를 정확히 표시할 수 있다.
'프로그래밍 > HTML, CS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NHN NURI CSS Guideline : 필요한 부분만 정리 (0) | 2013.01.14 |
---|---|
웹 표준 핵심 가이드북 : 폼 관련 요소 (0) | 2013.01.13 |
실전 웹 표준 가이드 : CSS 레이아웃 (0) | 2013.01.11 |
실전 웹 표준 가이드 : CSS 선언 (0) | 2013.01.11 |
실전 웹 표준 가이드 : CSS 선택자 (0) | 2013.01.11 |